송명훈
송명훈
소속
울산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AI요약
울산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송명훈 교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에너지 소자 분야를 선도하는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와 안정적인 유기 발광 소자(OLED/PeLED) 개발에 주력하며, 유연 전자 소자의 신뢰성 및 성능 향상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을 다수 개발하셨습니다. 송명훈 교수의 연구는 전극, 박막 형성, 봉지재, 시험편 제조 방법 등 소자 구현의 핵심 기술을 포괄하며, 현재까지 18건의 등록 및 공개 특허를 통해 그 연구 성과를 입증하고 있습니다. 본 정보는 송명훈 교수의 주요 특허 연구 내용을 중심으로 그의 전문성과 기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송명훈 |
직책 | 교수 |
이메일 | mhsong@unist.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울산과학기술원 |
부서 학과 | 신소재공학과 |
사무실 번호 | 0522172316 |
연구실 | Organic Photonics & Optoelectr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mhsong.unist.ac.kr/ |
홈페이지 | https://mhsong.unist.ac.kr/professor/ |
경력정보
회사명 | 울산과학기술원(UNIST) |
재직기간 | 재직 중 |
담당업무 | 신소재공학부 교수 - 유기/고분자 기반 발광소자 및 태양전지 개발 -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발광소자 및 태양전지 개발 - 액정/고분자 기반 레이징 소자 개발 |
회사명 | 케임브리지 대학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박사후 연구원 |
회사명 | KAIST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박사후 연구원 |
중요 키워드
#공액고분자#디스플레이#박막#광전소자#전극#유기전자소자#신뢰성평가#페로브스카이트#신소재#유연소자#나노소재#발광소자#태양전지#첨단소재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유기/고분자 기반 발광소자 및 태양전지 개발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발광소자 및 태양전지 개발 액정/고분자 기반 레이징 소자 개발 [대표 연구 내용] 송명훈 교수는 차세대 광전 소자로 주목받는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활용하여 고효율, 고안정성 태양전지 및 발광 소자를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존 소자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페로브스카이트 결정립 크기 제어, 스퍼터링 손상 완화, 부동태화 기술 등을 연구하여 소자의 성능과 신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습니다. 또한, 유연 전자소자 분야에서 전극 및 박막 형성 기술, 신뢰성 평가 장치 개발 등을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기기 등 미래 전자제품의 핵심 부품 상용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소자의 수명을 연장하여 산업 전반에 걸쳐 높은 사업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
학력
학력 사항 | 2002– 2005 : Ph. D. Organic and Polymeric Materials,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Tokyo Tech) 2000-2002 : M. S.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KAIST 1993-2000: B.S. Chem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