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덕
서영덕
소속
인하대학교 (컴퓨터공학과)
AI요약
서영덕 교수님은 인하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소속으로, 지식기반데이터분석연구실을 운영하고 계십니다. 교수님의 주요 연구 분야는 추천 시스템, IoT 데이터 분석, 그리고 데이터 마이닝입니다. 고려대학교에서 컴퓨터학 학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신 후, 세종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시며 활발한 연구 활동을 이어오셨습니다. 교수님은 복잡한 빅데이터 환경에서 사용자 맞춤형 추천 시스템을 개발하고, IoT 데이터의 효율적인 분석을 통해 실제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국제 학술 논문 및 특허를 통해 학계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한국정보과학회 및 한국정보기술학회에서 우수 논문상과 우수상을 수차례 수상하는 등 연구 역량을 인정받고 계십니다. 교수님의 혁신적인 연구는 AI와 데이터 기반 사회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서영덕 |
직책 | 조교수 |
이메일 | mysid88@inha.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인하대학교 |
부서 학과 | 컴퓨터공학과 |
사무실 번호 | 0328608425 |
연구실 | 지식기반데이터분석연구실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kdd-lab/ |
홈페이지 | https://cse.inha.ac.kr/cse/982/subview.do?enc=Zm5jdDF8QEB8JTJGZGVwYXJ0bWVudEludHJvJTJGY3NlJTJGMTQwMiUyRjE0MTElMkZjb2xsZWdlUHJvZlZpZXcuZG8lM0ZzaXRlSWQlM0Rjc2UlMjZpbmhhaWQlM0Q5ODkzQUFGMTc1QTlBMTczNjE2Rj |
경력정보
회사명 | 고려대학교 |
재직기간 | 2018.03.01 ~ 2018.08.31 |
담당업무 | - |
회사명 | 성신여자대학교 |
재직기간 | 2018.03.01 ~ 2018.08.31 |
담당업무 | - |
회사명 | 세종대학교 |
재직기간 | 2018.09.01 ~ 2019.02.28 |
담당업무 | - |
회사명 | 세종대학교 |
재직기간 | 2019.03.01 ~ 2020.08.31 |
담당업무 | - |
회사명 | 세종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데이터사이언스학과 |
재직기간 | 2019.03.01 ~ 2020.08.31 |
담당업무 | - |
중요 키워드
#소셜빅데이터#기계학습#추천시스템#데이터마이닝#센서보정#딥러닝#스마트빌딩#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컴퓨터학#형태소분석#소프트웨어융합#지식그래프#IoT데이터분석#빅데이터
대외활동
활동 내용 | [수상 내역] - KCC2024 학부생/주니어논문경진대회 학부생 부문 우수상 (한국정보과학회, 2024.07.19) - 2022년 한국정보기술학회 대학생논문경진대회 우수논문상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06.03) - 2021년 한국정보기술학회 우수논문상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06.04) - 2020년 한국정보기술학회 우수논문 (한국정보기술학회, 2020.10.23) [학회/위원회 활동 및 기술 자문/이전] - 인공지능융합센터 소속으로 다양한 국가 및 산업체 지원 연구과제 참여 - '인공지능융합프로젝트' 과목을 통해 연구센터 협력업체로부터 수요 기술 발굴 및 AI 융합기술 개발 협력 - 한국연구재단 BK21 플러스 사업 연계 활동 - 산업 현장의 실제 요구에 기반한 AI 융합기술 개발 및 문제 해결에 기여 - AI+제조, AI+물류, AI+포털, AI+의료 등 산업별 특화 기술 개발 지향 - 프로젝트 지도를 통한 기술 지도 및 전문 지식 공유 |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추천시스템, IoT 데이터 분석, 데이터 마이닝 [대표 연구 내용] 본 연구자는 소셜 빅데이터 기반의 개인화 추천 시스템, 시계열 데이터 내 저비용 센서 보정 모델,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의 자율 적응 프레임워크 등 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분야의 핵심 난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특히, 방대한 학술 논문과 특허를 통해 이론과 실제를 아우르는 깊이 있는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스마트 빌딩 에너지 관리, 정밀 양봉 기술 강화, 실내 미세먼지 측정 개선 등 다양한 산업 및 실생활 문제에 직접 적용되어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비용 센서 보정 기술은 IoT 기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비용 효율적인 데이터 수집 및 활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
학력
학력 사항 | 고려대학교 컴퓨터학 박사 (2018) 고려대학교 컴퓨터·통신공학부 학사 (2012)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