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태
김의태
소속
충남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I요약
충남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김의태 교수의 상세 프로필 정보가 궁금하신가요? 본 페이지는 김의태 교수의 학력, 경력, 주요 연구 분야, 발표 논문 및 특허 등 전문적인 활동과 성과를 한눈에 파악하실 수 있도록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신소재 분야의 혁신적인 연구 동향과 김의태 교수의 학문적 기여를 심도 깊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김의태 교수와의 학술적 교류 또는 연구 협력을 모색하시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김의태 |
직책 | 교수 |
이메일 | etkim@cnu.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충남대학교 |
부서 학과 | 신소재공학과 |
사무실 번호 | 0428217641 |
연구실 | 나노반도체실험실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site/cnunanosemiconductor |
홈페이지 | https://mse.cnu.ac.kr/mse/professor/professor01.do?mode=view&key=LZStrEwBhBYEYUhmYg%20&pager.offset=0&pagerLimit=10 |
경력정보
회사명 | 충남대학교 |
재직기간 | 재직 중 |
담당업무 | 교수 |
중요 키워드
#MOSFET#나노반도체#그래핀#MoS2#LED#재료공학#PEC#양자점#광전발광소자#신소재#Laser#적외선감지소자#태양전지#양자우물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재료공학 나노반도체/전자재료 [대표 연구 내용] 나노영역에서 새로운 특성 도출과 혁신적인 소자응용을 위한 다양한 나노반도체 연구를 수행합니다. 특히 그래핀 제조 및 소자응용, 나노구조 화합물반도체 태양전지, 나노결정 양자점 활용 광전 발광소자(LEDs, Laser), MBE를 이용한 양자우물 및 나노선 제조와 적외선 감지소자 연구가 핵심입니다. '반데르발스 접근법을 이용한 초미세 MOSFETs용 초고유전체 및 반도체 계면제어 연구'를 통해 반도체 10nm 미만 초미세 집적회로에 필요한 신소재 확보 및 소재 분야 기술 성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MoS2의 형상변조를 통한 광전기화학(PEC) 성능 촉진 연구를 진행하며, MoS2의 형상 및 두께 조정, MOCVD 방법 활용, 효율적인 PEC 물 분해를 위한 MoS2 나노시트의 최적 구조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학력
학력 사항 | 1998 ~ 2003: Ph.D., Dept. of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S.,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1991 ~ 1993: M.S., Dept. of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987 ~ 1991: B.S., Dept. of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