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유성
최유성
소속
충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AI요약
최유성 충남대학교 교수의 혁신적인 특허 기술을 소개합니다. 본 기술은 일산화탄소 포집이 가능한 바이오폴리머 기반 나노유체를 활용하여, 일산화탄소의 독성 영향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미생물의 일산화탄소 대사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합니다. 이는 미생물에 대한 기질 저해 효과를 감축시켜, 산업적으로 중요한 미생물 공정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이 기술은 환경 문제 해결과 바이오 산업 발전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최유성 |
직책 | 교수 |
이메일 | biochoi@cnu.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충남대학교 |
부서 학과 | 응용화학공학과 |
사무실 번호 | 0428215682 |
연구실 | 생체분자공학연구실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choibio.cafe24.com |
홈페이지 | https://choibio.cafe24.com/Professor |
경력정보
회사명 | 충남대학교 |
재직기간 | 2019.09.01 ~ 재직 중 |
담당업무 | 응용화학공학과 교수 |
회사명 | 미국 텍사스 알링턴 대학교 |
재직기간 | 2017.02.01 ~ 2018.02.28 |
담당업무 | 생물학과 방문교수 |
회사명 | 충남대학교 |
재직기간 | 2015.09.01 ~ 2019.08.31 |
담당업무 | 응용화학공학과 부교수 |
회사명 | 충남대학교 |
재직기간 | 2015.03.01 ~ 2015.08.31 |
담당업무 | 응용화학공학과 조교수 |
회사명 | 충남대학교 |
재직기간 | 2011.08.01 ~ 2015.02.28 |
담당업무 | 화학공학과 조교수 |
회사명 | 포항공과대학교 (POSTECH) |
재직기간 | 2008.03.01 ~ 2011.08.31 |
담당업무 | 화학공학과 연구조교수 |
회사명 | 미국 일리노이 어바나-샴페인 대학교 (UIUC) |
재직기간 | 2006.03.01 ~ 2008.03.31 |
담당업무 | 화학 및 생체분자 공학과 박사후 연구원 |
회사명 | 한국 분자생물학 및 유전학 연구소 |
재직기간 | 2005.10.01 ~ 2006.10.31 |
담당업무 | 박사후 연구원 |
중요 키워드
#기술사업화#생체분자공학#독성 저감#친환경공정#일산화탄소 대사#미생물 대사#공동연구#나노유체#화학공학#바이오폴리머
대외활동
활동 내용 | [수상 및 표창] - 2024년도 CNU Research Fair 우수 연구자 선정 (최현석 박사과정) - 응용화학공학과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최우수상 (전주희 학생) - 2023년 한국해양바이오학회 우수구두발표상 (최현석) - 2023년 한국해양바이오학회 우수포스터발표상 (노현방) - 2022년 한국생물공학회 추계 우수논문발표상 (강응수) - 2022년 대학원장 상 우수연구상 (강응수) - The 2021 BBE Best Article Award - 2021년 한국생물공학회 우수논문발표상 (강응수) - 2019년 한국생물공학회 학생우수논문발표상 (최현석, 정다운) - 2019년 C1가스 리파이너리 심포지엄 우수논문발표상 (문은주, 강응수) |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핵심 분야: 생체분자공학, 나노유체 기반 바이오 기술 세부 분야: 일산화탄소 독성 저감, 미생물 대사 안정성 향상, 바이오폴리머 응용 [대표 연구 내용] 미생물 기반의 공정에서 유해한 일산화탄소로 인해 발생하는 독성 저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산화탄소 포집이 가능한 바이오폴리머 기반 나노유체를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은 미생물에 대한 일산화탄소의 기질 저해 효과를 효과적으로 감축시켜 미생물의 일산화탄소 대사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킵니다. 이를 통해 미생물 발효 공정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바이오매스 전환 등 관련 산업 분야에서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바이오 공정 기술의 상용화를 가속화할 잠재력을 가 가지고 있습니다. |
학력
학력 사항 | 박사 서울대학교 화학공학부 (2005) 석사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 (2000) 학사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 (1998)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