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현
김태현
소속
인천대학교 (화학과)
AI요약
인천대학교 화학과 김태현 교수는 차세대 에너지 및 환경 기술의 핵심인 고분자 소재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성능 고분자 전해질 막, 음이온 교환막, 이산화탄소 분리막 개발을 통해 연료전지 및 리튬이온전지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김태현 교수의 특허 기술은 고온/저습 조건에서도 뛰어난 안정성과 전도도를 보장하며, 실리콘 음극용 고분자 바인더 개발로 차세대 배터리 성능 향상에도 기여합니다. 지속 가능한 미래 사회를 위한 김태현 교수의 심도 있는 연구 성과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김태현 |
직책 | 교수 |
이메일 | tkim@inu.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인천대학교 |
부서 학과 | 화학과 |
사무실 번호 | 0328358232 |
연구실 | Organic Material Synthesis Lab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site/inuomslab/ |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site/inuomslab/ |
중요 키워드
#친환경 에너지#리튬이온 배터리#분리막 기술#고분자 합성#전기화학#첨단 소재#재료 과학#이산화탄소 분리#연료전지#고분자 바인더#음이온 교환막#실리콘 음극#신재생에너지#고분자 전해질#에너지 저장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핵심 분야: 고분자 재료 과학, 에너지 저장 및 변환 시스템, 분리막 기술 세부 분야: 음이온 교환막, 고분자 전해질 막, 리튬이온 배터리용 고분자 바인더, 이산화탄소 분리막, 특수 목적 고분자 개발 [대표 연구 내용] 본 연구자는 차세대 에너지 및 환경 기술의 핵심 요소인 고성능 고분자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알칼리 연료전지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음이온 교환막 기술과 고용량 리튬이온 배터리의 안정성을 높이는 실리콘 음극용 고분자 바인더 기술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고온/저습 환경 고성능 음이온 교환막 개발' 문제 정의: 기존 알칼리 연료전지용 음이온 교환막은 고온 및 저습 환경에서 이온 전도도와 안정성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는 연료전지의 성능 저하와 수명 단축으로 이어져 상용화에 걸림돌이 됩니다. 기술 우위: 본 연구는 피페리디늄 이온 교환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말단에만 가교를 도입하여 전도도 감소를 최소화하고, 물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다수의 작용기를 포함함으로써 고온 및 저습 조건에서도 높은 이온 전도도와 우수한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했습니다. 사업 가치: 본 기술은 알칼리 연료전지의 핵심 부품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고효율 및 장수명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친환경 에너지 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고성능 실리콘 음극용 고분자 바인더 개발' 문제 정의: 실리콘 음극은 높은 에너지 밀도로 차세대 배터리 소재로 각광받지만, 충방전 시 큰 부피 변화로 인해 전극 구조가 파괴되고 수명이 급격히 단축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기술 우위: 본 연구는 강한 기계적 강도의 키토산과 우수한 전기전도도의 아닐린계 고분자를 그래프트 중합한 신개념 바인더를 개발했습니다. 이는 실리콘의 부피 변화를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전극의 결착력과 전기전도성을 동시에 향상시킵니다. 특히, 폐기물에서 추출 가능한 키토산을 활용하여 경제성과 재현성을 확보했습니다. 사업 가치: 본 기술은 고용량 실리콘 음극의 상용화를 앞당겨 전기차, ESS 등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의 성능과 수명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 산업에 큰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
학력
학력 사항 | 2001.04.30 Univ. of Cambridge (이학박사) 1997.02.25 성균관대학교 (이학석사) 1995.02.22 성균관대학교 (이학사)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