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유진

전유진

소속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AI요약

해양생물 자원의 무한한 잠재력을 활용하여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입니다. 제주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전유진 교수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해양생명 기반의 혁신적인 건강기능식품 및 바이오소재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어류 수산부산물과 다양한 해조류에서 유래한 후코이단, 키토산, 폴리페놀 등의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하고, 이를 활용하여 장 건강 개선, 피부 보호, 근력 증진, 항염증 및 항노화 효능을 가진 기능성 원료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전유진 교수의 심도 깊은 연구는 해양바이오산업의 발전을 견인하며, 지속 가능한 해양자원 활용과 인류 건강 증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전유진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전유진
직책교수
이메일youjinj@jejun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소속제주대학교
부서 학과해양생명과학과
사무실 번호0647543475
연구실해양생물자원이용공학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http://www.aquagt.co.kr/
홈페이지-

경력정보

회사명제주대학교
재직기간2002.03.01 ~ 재직 중
담당업무교수 재직
회사명아쿠아그린텍(주)
재직기간-
담당업무전 대표이사 및 현 기술이사
회사명제주대학교 해양과환경연구소
재직기간-
담당업무소장
회사명한국과학기술한림원 농수산분야
재직기간-
담당업무준회원
회사명교육과학기술부 한국연구재단
재직기간-
담당업무생명과학단 수산분야 전문위원
회사명제주대학교병원
재직기간-
담당업무신약개발연구원
회사명Memorial University of Newfoundland
재직기간-
담당업무연구원
회사명University of Alberta
재직기간-
담당업무연구원

중요 키워드

#기술이전#수산식품#피부보호#해조류#후코이단#항산화#국제공동연구#수산부산물#근력개선#건강기능식품#항염증#생리활성물질#기능성소재#해양바이오#키토산

대외활동

활동 내용[수상 내역] - 오뚜기 학술상 수상 - ISNFF 2022 우수 학술상 수상 [기술이전] - 패추출물로 근위축 극복, 건강한 노년을 준비하세요: 근육 유지식품 및 약품, DPHC, 사르코페니아 예방, 근위축 - 광어 펩티드로 부작용 없는 고혈압 해결책 발견하세요: 펩티드, 지속 가능성, 닥터프리퍼, 고혈압, 환경 친화적 - 혈압을 낮추는 천연 펩티드: 해양 생물의 힘: 혁신적 치료, 천연물 의약품, 혈압 조절, 천연 펩티드, 고혈압 치료 - 빅벨리해마로 활성산소와 고혈압 잡는 법: 자연 추출물, 천연 항산화제, 환경 보호, 식품 및 의약품 개발, 고혈압 치료 - 빅벨리해마로 고혈압과 활성산소를 잡다: 만성 질환 예방, 천연 생리활성물질, 화장품 산업, 빅벨리해마, 고혈압 - `고부가가치 수산식품개발 기획연구` 보고서에서 연구개발 성과 목표 중 "기술이전 및 산업화 10건" 명시 [기술 지도] - `고부가가치 수산식품개발 기획연구` 보고서에서 기술분과위원의 역할에 "신기술지도" 명시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연구 분야] 핵심 분야: 해양생물자원을 활용한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 개발, 해양 바이오산업 육성 세부 분야: 수산부산물 활용, 해조류 유래 기능성 물질 (후코이단, 폴리페놀 등), 건강기능식품 원료 개발, 피부 보호제, 근력 개선 효능, 바이오자원 국제 공동 연구, 생리활성 펩티드 및 다당류 연구 [대표 연구 내용] 해조류 및 어류 수산부산물에서 유래하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발굴하고 이를 활용한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 소재를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조류 지충이 후코이단과 키토산/키토올리고당 복합추출물을 활용한 장 건강 개선 건강기능식품 원료 개발과 어류 수산부산물을 활용한 기능성 단백질 성분 개발은 기존에 버려지던 자원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자원 낭비를 줄이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큰 사업적 가치를 가집니다. 또한, 해조류 유래 Diphlorethohydroxycarmalol (DPHC) 화합물의 근력 개선 효능 연구는 고령화 사회의 근감소증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혁신적인 접근으로, 이 기술들이 상용화될 경우 관련 산업 분야에 큰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학력

학력 사항부경대학교 이학박사 부경대학교 이학석사 부경대학교 응용화학과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