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김우용

김우용

소속

인천대학교 (바이오-로봇시스템공학과)

AI요약

인천대학교 바이오-로봇시스템공학과 김우용 조교수님의 상세 프로필 정보입니다. 본 프로필은 김우용 조교수님의 소속, 직위와 함께 학력, 경력, 주요 연구 분야 등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여, 관심 있는 사용자분들께 정확하고 심층적인 내용을 전달하고자 합니다. Kotech Hub에서는 김우용 조교수님의 최신 활동과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관련 분야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정보 탐색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필을 통해 김우용 조교수님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유용한 정보를 얻으시길 바랍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김우용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김우용
직책조교수
이메일wooyongkim@in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소속인천대학교
부서 학과바이오-로봇시스템공학과
사무실 번호0328358688
연구실REC LAB
연구실 홈페이지https://sites.google.com/view/inu-reclab
홈페이지https://sites.google.com/view/inu-reclab/people/pi?authuser=0

경력정보

회사명Incheon National University
재직기간-
담당업무Mar. 2024 - Present,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Biomedical and Robotics Engineering
회사명Hoseo University
재직기간-
담당업무Mar. 2021 - Feb. 2024,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Robotics
회사명KAIST
재직기간-
담당업무Aug. 2020 - Feb. 2021, Postdoctoral Fellow, Research Center for Eco-Friendly & Smart Vehicles

중요 키워드

#로봇 공학#전류 센서#연구개발#에너지 저장 시스템#제어 시스템#배터리 기술#상태 추정#배터리 관리 시스템#전기 자동차#히스테리시스 모델#우수논문상#ICROS#LiFePO4 배터리

대외활동

활동 내용[학회 활동] - 제40회 제어·로봇·시스템학회 학술대회(ICROS 2025) 참여 (논문 발표) [수상 내역] - 제40회 제어·로봇·시스템학회 학술대회(ICROS 2025) 우수논문상 (논문명: '히스테리시스 모델을 포함한 LiFePO4 배터리의 관측 가능성 및 상태 추정 정확도 분석')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연구 분야] 핵심 분야: 제어 시스템, 로봇 공학, 전류 센서, 연구 개발, 전기 자동차 세부 분야: LiFePO4 배터리 히스테리시스 모델, 관측 가능성, 상태 추정 정확도 분석 [대표 연구 내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LiFePO4 배터리의 정확한 상태 추정은 안정적인 운영과 성능 최적화를 위한 핵심 과제입니다. 특히 히스테리시스 특성은 배터리 모델링 및 상태 추정의 정확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LiFePO4 배터리의 히스테리시스 모델을 포함한 관측 가능성 및 상태 추정 정확도를 분석했습니다. 이 연구는 배터리의 복잡한 내부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기존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신뢰성 높은 배터리 상태 추정 기술을 제공합니다. 제40회 제어·로봇·시스템학회 학술대회(ICROS 2025)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며 학술적 우수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이 기술은 전기 자동차,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로봇 등 LiFePO4 배터리를 활용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배터리 수명 연장, 안전성 향상,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시스템 구축에 기여하여 관련 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 및 경제적 가치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학력

학력 사항Ph.D., Mechanical Engineering, KAIST, 2020 (Advisor: Prof. Kyung-Soo Kim) M.S., Robotics Program, KAIST, 2016 (Advisor: Prof. Kyung-Soo Kim) B.S., Department of Mechanical System Design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4

보유 기술

보유 기술이 없습니다.